등록된 알림이 없습니다.
문화이슈
다양한 기준과 시각으로 보는 문화!
전문가리뷰를 참고해 보세요.
전체 187건 페이지 6/24
-
AI시대, 예술은 무엇으로 사는가?강운 , 2024,_디지털 피그먼트 프린트, 65x65cm AI시대, 예술은 무엇으로 사는가? 2024.05.07.-05.30 / 조선대학교 미술관 AI 시대, 질문과 사색으로 이어지는 예술 오늘날 생성형 AI는 예술가의 작업시간을 단축시키고, 예술작품을 만들어 낸다. 이러한 시점에서‘예술은 과연 살아남을 수 있을까?’ ‘예술의 가치는 무엇인가?’에 대한 의문은 지속적으로 이어지고 있다. (중략) 2024 조선대학교 장미주간 특별기획전 ‘AI 이미지 시대, 예술은 무엇으로 사는가?’ 전시기획도 이러한 고민에서 시작되었다. ‘생성형 AI’..작성자 광주미술문화연구소 작성일 2024.05.11 조회수 0
-
실감콘텐츠전 ‘너머의 세계’장 샤오타오 <사캬, Sakya〉, 2022 / 2024, 다채널 비디오, 8분50초 실감콘텐츠전 ‘너머의 세계’ 2024.05.10-08.04 / 광주미디어아트플랫폼 세계를 바라보는 시선 인류세(人類世, Anthropocene)는 인간으로 인해 지구 역사에 큰 변화가 일어나고 있음을 나타내는 지질학적 용어이다. 이는 자연적으로 생성된 지질연대와 구분하기 위해 논의된 개념으로 인류가 지구 환경을 급격하게 변화시켜, 다양한 생물종이 멸종되는 등의 현상이 발생한 새로운 지질연대를 뜻한다. 더불어, 단순히 지구 생태계 변화를 자각하는 것 이상의..작성자 광주미술문화연구소 작성일 2024.05.11 조회수 0
-
정정주 초대전 ‘Luminous City’정정주 (부분), 2024, 격자형 모니터 4개, 스테인리스 스틸, 2,930x430x190cm 정정주 초대전 ‘Luminous City’ 2024.05.03-08.04 / 광주미디어아트플랫폼 경험과 환영으로서의 ‘빛’ 외부세계를 포함한 예술을 온전히 향유하는 행위는 감각기관을 통한 정서적 자극을 넘어서 일련의 ‘과정’을 수반한다. 예술의 생산자와 향수자 모두에게 있어 미적 행위란 실용적이지 않거나 고상한 관념의 산물들을 단순히 지각하는 것이 아닌, 창작이라는 주체 행위와 감상이라는 수동적 요소의 균형 속에서 각각의 경험과 사고를 상호..작성자 광주미술문화연구소 작성일 2024.05.05 조회수 0
-
간극본능 그리고 미완의 내러티브림배지희 , 2021, 장지에 혼합재, 194x130cm 간극본능그리고 미완의 내러티브 2024.03.16.-06.02 / 해동문화예술촌 아레아갤러리 ‘간극’은 사물 혹은 시간 사이의 틈, 두 가지 현상 사이의 틈을 정의하는 말이다. 인간에게는 어떠한 대상을 뚜렷하게 구별하려는 이분법적인 사고, ‘간극본능’이 존재한다. 이는 다분화된 사회현상을 그저 단편적인 관점으로 바라보는 발상이기도 하다. 이번 전시는 답이 제시되지 않은, 즉 각자의 시선으로 만들어진 ‘미완성의 묘사’를 표현하기 위한 행동의 일환으로 기획되었다. 전시는..작성자 광주미술문화연구소 작성일 2024.04.12 조회수 0
-
소통과 초연결성 ‘입력-공간-횡단’박아론 , 2024, 가변설치 소통과 초연결성 ‘입력-공간-횡단’ 2024.04.09-05.06 / 담빛예술창고 담빛예술창고 기획전 ‘입력-공간-횡단’은 존재하는 실공간과 작품 간의 소통, 이 행위의 초연결성에 관해 다루고자 기획되었다. 양립 불가능한 들 이상의 입력공간은 새로운 구조를 형성해내며 각자의 지정된 전시공간 안에서 ‘혼성공간(Blended pace)’으로 정해지게 된다. 쉽게 말해 ‘온실 속 화초’와 같은 구조라고 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한 공간과 예술 간의 ‘혼성’, 새로운 발현과 인지과정을 만들어 내고자 한다. ..작성자 광주미술문화연구소 작성일 2024.04.12 조회수 0
-
김주연 서은선 양문기의 ‘생성 Generative..김주연 , 2024, 나무패널, 신문, 이끼, 562x236x132.8cm 김주연 서은선 양문기의 ‘생성 Generative Mind’ 2024.02.22-04.21 / 화순군립최상준미술관 생성과 예술의 관계는 인간의 창조적 표현과 문화적 발전의 핵심을 이루고 있다. 이 관계는 단순히 물리적인 작품을 만드는 행위를 넘어서, 개인과 사회가 자신들의 경험, 가치, 그리고 비전을 형상화하고 공유하는 근본적인 과정을 포함한다. 창의성은 예술의 근본적인 요소로, 인간이 자신의 내면세계와 외부 세계를 탐구하고 해석하는 방식으로 예술가는 자신의 감정, 생..작성자 광주미술문화연구소 작성일 2024.04.06 조회수 0
-
세월호 참사 10주기 추모전 ‘천계의 바람이..은아미술관 기획 세월호 참사 10주기 추모전 '천계의 바람이 되어' 전시 일부 세월호 참사 10주기 추모전 ‘천계의 바람이 되어’ 2024.03.25.-04.25 / 은암미술관 지금으로부터 10년 전인 2014년 4월 16일, 진도 앞바다에서는 상상할 수 없는 대형참사가 발생하였다. 인천에서 출발하여 제주로 향하던 세월호라는 배가 침몰하고 있다는 소식이었다. 뉴스 속보가 전해지고 실시간 상황이 전해지고 있었다. 소식을 접하면서 온 국민이 무사히 살아서 돌아오길 간절히 원했지만 299명이라는 많은 사망자가 발생하였고 5명은 아직..작성자 광주미술문화연구소 작성일 2024.04.04 조회수 0
-
김보현 실비아올드 부부전 ‘영원한 비상을..김보현 실비아올드 부부전 ‘영원한 비상을 꿈꾸다’의 일부 김보현 실비아올드 부부전 ‘영원한 비상을 꿈꾸다’ 2024.03.04-05.24 / 조선대학교 김보현&실비아올드미술관 조선대학교 김보현&실비아올드 미술관에서 김보현 & 실비아올드 소장품전 ‘영원한 비상을 꿈꾸다’전을 개최하고 있다. 이번 전시는 2014년 ‘행복한 동행’전 이후 김보현과 실비아올드를 추모하기 위해 기획하였다. 10년 만에 김보현과 실비아올드 작품을 동시에 볼 수 있는 기회이다. 한국 추상표현주의 1세대 작가인 김보현은 미국의 조각가인 실..작성자 광주미술문화연구소 작성일 2024.04.02 조회수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