등록된 알림이 없습니다.
문화이슈
다양한 기준과 시각으로 보는 문화!
전문가리뷰를 참고해 보세요.
전체 187건 페이지 10/24
-
‘변이된 질서’ ; 수묵으로 함축된 생멸 순..이동환 연작 ‘변이된 질서’; 수묵으로 함축된 생멸 순환 2023.09.14-11.26 / 담빛예술창고 수묵에는 생멸(生滅)이 있다. 생명의 시원으로서 물과 소멸의 흔적인 재가 혼합되어 있기 때문이다. 스미고 번지며 섞이는 물의 속성은 뭇 생명활동과 닮아있고, 이런 은밀한 작용을 가시적 현상으로 드러내어 주는 것은 타고 남은 재-숯가루의 질료 흔적인 것이다. 더욱이 먹색은 세상 온갖 색채의 총체이니 거기에는 생성도 소멸도 모두 담겨있다. 2023전남국제수묵비엔날레 시군 기념전의 하나로 담양 담빛예술창고가 마련한 ‘변이된 ..작성자 광주미술문화연구소 작성일 2023.09.20 조회수 0
-
환희와 축원의 ‘영원‧낭만‧꽃’손봉채 , 2022, 폴리카보네이트에 유채, 120x90cm 환희와 축원의 ‘영원‧낭만‧꽃’2023.06.20-11.05. / 전남도립미술관 전남도립미술관 기획전 ‘영원, 낭만, 꽃’ 전시에는 여러 비유가 깔려 있다. “삶은 계속해서 변하는 것이고, 그 변화에 매몰되지 않고자 하는” 통찰의 시각을 다양한 꽃 소재 작품들로 살펴보는 전시다. 오감의 대상으로서보다는 상징과 감성의 또 다른 차원으로 꽃 작품들을 펼쳐놓았다. 동서고금을 넘나드는 여러 유형의 작품들은 인생만큼이나 폭도 층위도 복합적이다. 다섯 섹션으로 나눈 전시구성 중 첫 번..작성자 광주미술문화연구소 작성일 2023.09.16 조회수 0
-
광주 현대미술을 되돌아보다 ; ‘추상의 추..광주시립미술관에서 열리고 있는 '추상의 추상' 중 강용운, 김환기, 양수아 작품 광주 현대미술을 되돌아보다 ;‘추상의 추상’ 2023.07.21-11.26 / 광주시립미술관 광주시립미술관은 남도 추상미술의 선구자들을 기리며 [추상의 추상](抽象의 追想)을 개최한다. [추상의 추상]은 근대기 광주를 비롯한 남도의 전통적이고 보수적인 남종화와 자연주의와 서정주의에 기초한 구상미술이라는 두 가지의 큰 흐름 속에서도 움터나온 추상미술을 추상하고자 한다. 또한 추상미술이 쉽게 받아들여지지 않았던 시기에 굴곡진 길을 걸어간 이들..작성자 광주미술문화연구소 작성일 2023.09.06 조회수 0
-
꽃무더기의 소리에 취하다 ; 임근재 회화세..임근재 , 2023, 캔버스에 유채, 72.7x60.6cm 꽃무더기의 소리에 취하다; 임근재 회화세계2023.08.23-09.03 / 양림미술관 개인전 중견작가 임근재 개인전이 9월 3일까지 광주 양림미술관에서 열리고 있다. 화사한 색채와 투명한 빛의 장미와 나팔꽃을 주된 소재로 한 최근작들과 함께 2000년대 이후의 몇 작품을 함께 전시하여 지난 시절을 되비춰보고 있다. 이번 개인전 팸플릿에 미술평론가 박은지(의재미술관 학예연구실장)는 그의 1993년 첫 개인전부터 최근까지를 일별하여 긴 평문을 실었는데, 이 가운데 일부를 발췌하여 임근재..작성자 광주미술문화연구소 작성일 2023.09.04 조회수 0
-
7팀의 풍경으로 펼쳐낸 ‘생태미술프로젝트..최정화와 지역 대학생들의 협업 프로젝트 의 일부 7팀의 풍경으로 펼쳐낸 ‘생태미술프로젝트’2023.08.23-12.31 / 광주시립미술관 제10회 광주디자인비엔날레 특별전으로 마련한 [생태미술프로젝트]는 생태미술관을 지향하는 광주시립미술관의 첫 디딤발이다. 광주시립미술관은 도시근린공원인 중외(仲外)공원 안에 자리하고 있다. 미술관의 장소 특정적 성격, 주변 생태를 관찰해 기록하는 것에서 이번 전시는 시작한다. 아시아예술정원을 향해 변모되는 시기, 잠시 ‘멈춤’의 공원을 대신하여 미술관에서 인간의 시선만이 아닌 다..작성자 광주미술문화연구소 작성일 2023.09.02 조회수 0
-
일곱 풍경 생태미술프로젝트최정화+대학생 26명 , 2023, 광주시립미술관 생태미술프로젝트 중 일곱 풍경 생태미술프로젝트2023.08.23-12.31 / 광주시립미술관 무던히도 긴 불볕 폭염과 물을 쏟아붓는 장대 폭우 사이로 기후 위기의 이 여름도 가고 있다. 예전 같지 않다는 날씨 걱정이 일상이 될수록, 세상 곳곳이 너무나도 상반된 기상현상들로 혼돈에 휩싸일수록, 자연생태에 대한 불안과 걱정도 높아만 간다. 광주시립미술관이 자리한 중외공원은 현재 아시아예술정원 조성공사로 공원 대부분이 공사 가림막으로 가려져 있다. 신록의 풍경 대신 온통 공사 중인..작성자 광주미술문화연구소 작성일 2023.08.27 조회수 0
-
문웅 컬렉션전 ‘어느 수집가의 인연’문웅 컬렉션전 일부. 동곡미술관 제공사진 문웅 컬렉션전 ‘어느 수집가의 인연’2023.08.09-10.03 / 동곡미술관 문화예술 가치의 향유 공유로서 아트컬렉션2021년 처음 시작하여 지금도 전국을 돌며 일반 대중을 일상 너머 예술세계로 끌어들이고 있는 ‘이건희컬렉션전’의 파급력은 대단하다. 수집한 작품의 질과 양, 그 폭이 참으로 놀라울 따름이다. 물론 그 이전에도 개인소장품을 비롯, 고물상을 떠돌거나 다른 나라에 잠들어 있던 국보급 미술품을 찾아내고 거액을 불사하고서라도 기필코 구해 우리 품에 안긴 전설적인 컬렉..작성자 광주미술문화연구소 작성일 2023.08.11 조회수 0
-
이기원 전현숙 초대전 ‘경계의 아리아’이기원, 전현숙의 전시작품 중. 화순군립운주사문화관 제공사진 이기원 전현숙 초대전 ‘경계의 아리아’2023.07.01-08.31 / 화순군립운주사문화관 내재된 초상의 발현팬데믹 시대를 겪으면서, 직접 보고 만나는 일상에 대한 소중함을 누구나 절감하게 되었다. 우리가 일상적으로 누려왔던 모든 것들이 특별해지는 경험이었다. 부재를 통해 존재의 소중함을 깨닫는 것은 어둠이 있어야만 빛을 인식할 수 있는 것과 같다. 더 많이 만나고 더 많이 보여주기 위한 화순군립운주사문화관의 개관 기념 첫 전시는 이기원 전현숙 작가를 초대..작성자 광주미술문화연구소 작성일 2023.08.11 조회수 0